[맛있는 영화] 동창생, 한예리는 예뻤다.
Good – 최승현 팬
Bad – 은밀하게 위대하게도 재미없던 사람들
평점 - ★★★
일단 [동창생] 영화 자체애 대한 이야기를 하기 이전에 이 영화에서 도대체 왜 ‘김유정’을 그렇게 포인트로 삼아서 말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한예리’의 비중이 훨씬 더 클뿐더러 기본적으로 ‘최승현’만의 드라마거든요. 아무리 봐도 ‘김유정’이 맡은 인물은 그저 ‘리명호’가 움직이게 하는 키워드일 뿐 영화에서 배우로 그다지 큰 비중을 맡지는 못하는데 애매합니다.
[동창생]은 ‘최승현’으로 시작해서 결국 ‘최승현’으로 끝이 나는 영화인 만큼 다소 부담스러운 느낌이 드는 것이 사실입니다. ‘최승현’이라는 배우 자체는 연기를 꽤나 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연기를 잘 하는 배우라고 하더라도 이러한 영화에서는 자기 이야기를 하는 것이 매우 버겁지 않을까 싶습니다. [동창생]이라는 영화는 ‘최승현’이라는 배우의 어깩 무너져 내릴 정도로 지나치게 그에게 모든 것을 기대고 있는 영화니 말이죠. 그가 아무리 괜찮은 연기를 선보이는 데다가 영화를 이끌어나갈 힘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분명히 버거워 보입니다. 게다가 이야기 자체가 지나치게 끊어진다는 느낌 역시 지우기 어렵습니다. 도대체 왜 이렇게 하나의 포커스를 잡지 못하고 이런 이야기 저런 이야기를 하고자 노력을 하는 걸까요? 기본적으로 남으로 온 간첩의 이야기이기는 한데. 그렇다고 하기에는 이 인물 자체가 너무나도 유약하기만 합니다. 아니 도대체 왜? 라는 생각이 들 것 같은 행동을 너무나도 많이 하기도 하고 말이죠. 중간중간 답답해! 라는 생각이 들 절도로 이해가 안 되는 행동을 하는 것들도 몇 군데 나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승현’은 자기 연기를 완성시킵니다. 답답하고 끊어지는 영화임에도 주인공은 꽤나 완벽하죠.
그나마 이 영화를 잡아줄 수 있는 것은 수많은 조연들의 빛나는 연기입니다. 포장마차 할매라거나 엄마 김선경. 다양한 인물들이 보이는 이야기들이 결국 이 영화를 만들어나가는 선인데 이것이 사실 꽤나 부담이 되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결과적으로 이야기가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갈래로 나뉘게 되는데 바로 그들이 한 몫을 하는 느낌이거든요. 그들의 비중이 누구에게 있느냐에 따라서 다시 이야기는 다시 한 번 누군가에게로 포커스가 옮겨지게 되고 다시 한 번 산만한 이야기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은밀하게 위대하게] 역시 산만하다는 평가를 받기는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괜찮다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던 것은 그 중심에 한 가지 이야기. 결국 절실하게 살고 싶고 서로를 의지해야 한다는 것이 있어서였습니다. 하지만 ‘최승현’의 [동창생]에는 이것이 부족합니다. 동생을 위해서 절실하게 살아야 하는 사람이라면 친구를 만들지 않고 옺기 동생만을 생각을 해야 하는 거고, 그런 것이 아니라 남의 생활에 적응을 하고 만 거라면 그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 하는데 결국 이것도 저것도 아닌 이야기가 탄생을 해버리고 만 거죠. 영화가 이 이야기 저 이야기 잡아오는 과정에서 ‘한예리’가 완전 예쁘다는 것은 함정. 역시 ‘한예리’는 단발머리가 어울린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증명하더군요.
‘최승현’은 [동창생]의 중심이자 유일한 주인공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완벽하게 만들어냅니다. 하지만 위에서도 이야기를 한 것처럼 그 혼자 힘으로 이 영화는 버겁습니다. 게다가 공작원이라는 신분에 어울리지 않을 정도로 산만한 느낌을 주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리고 꽤나 조심성이 없는 인물이기도 하고요. 아니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사람들이 다 보는 앞에서 누군가를 죽일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하는 걸까요? 아무리 보더라도 그건 말도 안 되는 일이라고 생각이 되는데 말이죠. 그리고 여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신분을 철저히 숨겨야 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격투 능력에 대해서 전혀 숨겨야 한다는 생각 같은 것을 가지지 않습니다. 그러다 보니 결국 자신을 위험으로 몰아넣게 되는데 참 답답한 느낌입니다. 물론 영화가 이러거나 말거나 ‘최승현’은 자기 연기를 묵묵히 선보입니다. 때로는 진지하게 때로는 다정하게 말이죠. 꽤나 잔인한 영화라서 부담스러울 수도 있었지만 이내 서글픈 눈망울의 ‘최승현’이 중심으로 나타나면서 그러한 느낌을 지울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다만 그 절실함을 외칠 호소력이 부족한 느낌입니다. 물론 이건 단순히 배우가 가지고 있는 연기력의 부재가 아니라 이 캐릭터가 그 만큼 완벽하게 그려지지 않기에 그런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조금 더 다양한 색을 주는 역할이더라도 ‘최승현’은 완벽하게 표현을 했을 것 같은데 말이죠. 그리고 열아홉이라니. 아무리 그가 어려 보이더라도 이건 좀 아닌 것 같고요. 아무튼 난해한 캐릭터임에도 불구하고 ‘최승현’은 묵묵히 이 역할을 소화합니다. 자신이 할 수 있는 최대한을 선보이는 거죠. 단순히 아이돌 출신의 연기자가 아니라 진짜 괜찮은 연기자로의 자신의 모습을 선보이기에 이 영화를 완벽하게 활용합니다. 물론 중간중간 서울말과 이북말의 묘한 이질감은 차라리 서울말만. 이라는 생각이 들게 하더군요.
전반적으로 생각보다 무겁고 어두운 분위기라서 매력적이어서 만족스러웠지만 이내 그 만족은 짜증으로 변해버립니다. 영화가 급격하게 산으로 가기 때문이죠. 그 안에서 그저 한 개인으로 그 영화의 소용돌이에 갇혀버린 한 개인이 나오는데 물론 이것이 가능한 것이기는 하겠죠. 아무리 강한 개인이라고 하더라도 결국 개인이 세상의 중심이 아니니 말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그렇다고 하더라도 영화에서까지 그럴 필요가. 게다가 도대체 왜 간첩 영화에서는 늘 우리나라 국정원이 이토록 무능력하고 못생긴 사람들로 나오는 건가요. ‘윤제문’이라는 배우의 연기는 훌륭하지만 늘 간첩은 훈훈한 꽃미남이고. 우리 국정원 요원들은 왜? 국정원도 충분히 훈남일 수 있을 텐데 말이죠. 전반적으로 기대한 것과 달라서 놀라고 배우들이 연기를 잘 해서 놀라다가 영화가 무너져내려서 당황하는 [동창생]입니다.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다음 우수블로거 권순재 ksjdoway@hanmail.net
Pungdo: 풍도 http://blog.daum.net/pungdo/
맛있는 부분
하나 – 선생님에게 격투?를 시전하는 ‘리명훈’
둘 – 분홍 스웨터를 입은 할머니
'☆ 문화 > 맛있는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맛있는 영화] 디스커넥트, 디저트가 필요해! (0) | 2013.11.11 |
---|---|
[맛있는 영화] 토르 – 다크 월드, 전보다 낫다 (0) | 2013.11.08 |
[맛있는 영화] 미스터 노바디, 낯선데 어울린다. (0) | 2013.11.06 |
[맛있는 영화] 더 파이브, 기대했던 그 맛대로 (0) | 2013.11.05 |
[맛있는 영화] 톱스타, 괜찮은 것 같기는 한데 확 끌리지는. (0) | 2013.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