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 씨의 하루, 두 번째 - 행복도시에는 즐거운 학생들만 가득 하대요. 행복도시 이야기 #2. 행복도시에는 즐거운 학생들만 가득 하대요. “세령아.” “응?” 열심히 딸기를 먹던 세령이 고개를 돌려 선진을 바라봤다. “왜 불러?” “너희는 요즘 학생 수가 얼마나 되니?” “우리?” 세령이 눈을 깜빡이며 고개를 갸웃했다. “한 37명쯤 되나?” “되, 되게 많네?” “응, .. ★ 일상/이야기 하기 2009.04.11
으왓! 미소야 시식권 당첨!!!!!!!!!!!!!! 시식 후기 쓰면 된다고 해서 썼는뎅 20000원 당첨!!!!!!!!!!!!! 미소야 월욜마다 가야징!! 아자! ★ 일상/이야기 하기 2009.04.09
선진 씨의 하루. 첫 번째 - 행복도시에는 지하철보다 편리한 BRT가 있대요! 행복도시 이야기 #1. 행복도시에는 지하철보다 편리한 BRT가 있대요! “잠시만요!” 아침부터 분주한 그녀의 이름은 우선진. 행복도시라고 불리는 세종 시에 이사온 사흘 째다. 햇살 좋은 토요일에 이사를 오고 일요일에 기분 좋게 집들이 한 것 까지는 좋았는데, 월요일. 알람을 듣지 못하고 예상보다 .. ★ 일상/이야기 하기 2009.04.04
[이슈 + 플러스] 제값 주고 보면 바보가 되는 요즘, 만화 문제는 당연하다! [이슈 + 플러스] 제값 주고 보면 바보가 되는 요즘, 만화 문제는 당연하다! 저는 21살의 K대에 다니는 대학생입니다. 소설가를 꿈꾸고 있고, 현재 세 편의 작품을 전자 책으로 계약을 맺어 놓았습니다. 제가 이야기 하고 싶은 건 이러한 이야기가 아니라, 바로 만화책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싶기 .. ★ 일상/이야기 하기 2009.03.31
이 봄 당신을 위한 완벽한 선택! 노란색 컨버스, 오늘 쇼핑 가서 구매한 녀석입니다. 가격은 4,5000원이구요. 매장은 [EVERLAST]입니다. 사실은 요 노란 녀석을 사러 간 게 아니라, 완전 초록색, 혹은 완전 파란색 신발을 사러 간 거였는뎅 ㅠ.ㅠ 부천에 있는 GS스퀘어 백화점에는 없어서;; 비비드한 컬러만 잔뜩 있더라고요 ㅠ.ㅠ 결국, 지른 녀석은 이 봄에 .. ★ 일상/이야기 하기 2009.03.28
무... 무... 무 꽃이 피었습니다 (?) 자 보이시나요?? 응?? 저게 뭐지?/ 하시는 분... 하하하하 저게 무 꽃이에요 >_< 조금 더 자세히 찍어 보았습니다. 무려 두 그루가 보이시나요? 너;; 너무 희미한가요? 하핫 위의 사진보다 조금 지난 시기입니다 *^^* 이제는 가지까지 쭉쭉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정말;; 대단하군요;; 뿌리 부분을 자세히 .. ★ 일상/이야기 하기 2009.03.24
야구유니폼은 긴팔, 축구유니폼은 반팔인 이유? 요즘 WBC가 한창 인기있죠? 저희 집에서도 WBC에 대한 관심이 꽤나 높습니다. 오늘 이야기를 해드리고자 하는 건, WBC와는 그리 관련이 없는 말일 지도 모르겠네요. 저에게는 두 명의 사촌 동생이 있습니다. 초등학생 동생들인데, 야구를 보다가. 동생이, '형? 왜 야구 선수는 긴 팔 이고, 축구 선수는 반 팔.. ★ 일상/이야기 하기 2009.03.22
[스크랩] 행복도시 이야기 ? 자전거가 있는 풍경 똑같은 일상의 시작이다. 나는 직장으로 출근하기 위해, 사람으로 가득 차 있는 지하철에 탑승해 있다. 내 나이 서른. 이제 막 가정을 꾸리고 한창 일해야 할 나이인데, 벌써부터 점점 삶에 지쳐간다. 사랑하는 아내와, 그리고 얼마 뒤에 태어나게 될 나의 사랑스러운 아기. 그들을 행복하게 만들어주어.. ★ 일상/이야기 하기 2009.03.20
[스크랩] [건축가이야기]『 Less is More!!! 』 미스 반 데어 로에 현대건축의 3대 거장 중의 한사람인 미스 반 데어 로에(Mies van der Rohe)의 ‘Less is More’는 ‘적을수록 많고, 풍부하고, 좋다’라는 뜻으로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Form follows function)’와 더불어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말로, 모더니즘 디자인의 미학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독일의 아헨에서 석공의 .. ★ 일상/이야기 하기 2009.03.20
[스크랩] [건축가이야기]『모방과 변용 그리고 풍부함과 세련미!!!』 김중업 1960년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토대로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건축분야도 동반성장하면서, 그동안 비판없이 들여왔던 서구의 모더니즘에 대하여 본격적인 검토가 시작된다. 즉, ‘한국건축의 정체성은 과연 무엇인가?’를 놓고 건축가들 사이에 벌어진 치열한 논쟁과 혼돈에 대하여 김중업(1922∼.. ★ 일상/이야기 하기 2009.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