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영화] 비밀은 없다, 맑은 국물에 매운 맛이 느껴진다.
Good – 독특한 감성의 스타일이 돋보이는 영화가 좋은 사람
Bad – 영화는 이해하기 쉬워야 할 거 아니야
평점 - ★★★★ (8점)
사람들 사이에 호불호가 많이 갈려서 볼까 말까 망설였던 [비밀은 없다]는 보기 참 잘 했다.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매력적인 영화였습니다. 특히나 여성 감독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영화만이 줄 수 있는 스타일리시한 감각 등이 돋보이는 느낌이었는데요. 반전이 꽤 돋보이는 영화이기는 하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그 반전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게 느껴졌습니다. 관객과 마찬가지로 단서를 하나하나 알아가면서 진실에 다가가는 ‘손예진’이 연기하는 ‘연홍’처럼 그 상황 자체에 분노하면서 진실에 다가서게 되는 거죠. 영화는 진짜 잘 나온 영화인데 왜 이렇게 사람들의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것인가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각각의 캐릭터들은 매력적이고, 그것을 풀어내는 방식 역시 아름다운데 말이죠. 꽤나 선명하게 그려내는 것이 없기는 하지만 이 알 수 없는 몽환적인 느낌을 잘 살린 영화가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편집 역시 독특하고 음악 역시 매우 독특하게 다가오거든요. 이 낯선 느낌만 잘 커버한다면 충분히 사랑할 수 있는 영화가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요 근래 영화 중에서 이렇게 인물의 감정에만 충실하게 따라가는 영화가 있었나 싶을 정도로 [비밀은 없다]는 ‘연홍’의 감정을 충실하게 따라가는 영화입니다. 그래서 더욱 독특하고요.
‘연홍’이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극을 이끌어가는데 주인공임에도 불구하고 관객들이 아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 특별하게 느껴지는 영화였습니다. 보통 영화 같은 경우에는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해서 주인공이 알고 쫓아가는 것과는 확실히 다른 지점이었습니다. 특히나 ‘연홍’이 더욱 특이한 이유는 오히려 한 발 뒤에서 그 모든 것들을 쫓아간다는 거였습니다. 이미 다른 사람들이 진실을 다 숨기고 난 이후에. 모든 비밀을 만들고 난 이후에 그것에 대해서 알아가는 거죠. 진실하고 거리가 먼 그녀를 보다 보면 뭔가 묘한 기분이 들었습니다. 도대체 왜 그녀만 진실을 알지 못하는 것일까? 같은 생각이 들기도 하고요. 비밀이란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도대체 어떤 비밀이 ‘연홍’을 괴롭히는 것인지 같은 부분이 선명하게 그려지지 않습니다. 이 묘한 느낌. 기존의 영화의 문법하고 묘하게 엇박으로 나아가는 것이 독특하게 느껴지는 영화였는데요. 이 섬세함이 돋보이는 부분들이 사람들에 따라서 호불호를 많이 가르지 않을까? 하는 아쉬움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이 낯선 느낌 같은 것을 잘 따라간다면 사랑할 수 있는 영화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드물게 여성이 전면에 나오는 영화이기도 하고요. 사회적인 문제까지 한 번에 다루기에 더욱 의미가 있는 영화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손예진’은 잃어버린 딸을 찾고자 노력하는 ‘연홍’을 연기했습니다. 그너는 힐러리가 꿈인, 조금은 특별하지 않은 꿈을 가지고 있는데요. 가족이 단란하기 바라는 것이 우선이기는 하지만 정작 가족에 대해서 자세히 모르는 사람이기도 합니다. 딸이 지금 당장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인지. 그리고 남편이 어떤 꿍꿍이를 가지고 있는지 같은 것들은 모릅니다. 하지만 그녀의 이 밋밋함 같은 거 그게 이 캐릭터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 부분이 아닐까 시습니다. 특히나 극의 전반부와 후반부 완벽히 다른 연기를 선보이는 것을 보면 이게 같은 역할이 맞나? 싶을 정도로 전혀 다른 역할을 연기하거든요. 초반에는 그저 예쁘게만 보이는 정치인의 아내에서, 후반으로 갈수록 딸을 잃은 어머니의 어떤 모습 같은 것이 나오는데 이 선명함? 같은 것이 꽤나 매력적으로 그려지는 것 같습니다. ‘손예진’이라는 배우가 연기를 이렇게 잘 했었나? 라는 생각도 했고요. 그 동안 사랑스러운 느낌으로 나오는 배역들만 봤었어서 이런 느낌의 캐릭터를 연기할 수 있을까 싶었는데 그 모든 우려를 날려버리는 역할이었습니다. 특히나 영화가 진행이 되면서 점점 더 그녀의 편이 사라지게 되는데 그럴수록 더욱 무섭게 딸을 찾고자 하는 집념을 선보이는 것 등이 돋보이는 캐릭터였습니다.
‘김주혁’은 선거에 승리하고자 노력하는 ‘종찬’을 연기했습니다. 예능에서 보던 ‘김주혁’과 전혀 다른 이미지인데, 정말 악랄한 역할을 잘 표현합니다. 처음에는 그저 좋은 아버지인 것 같지만, 영화가 진행이 될수록 그저 자신의 성공을 위해서 달리는 역할입니다. 그는 딸이 실종이 되었지만 그에 대해서 크게 동요하지 않습니다. 심지어 딸이 시체로 나타나더라도 그에 대해서 아무런 공포 같은 것을 느끼지 않는 사람입니다. ‘김주혁’이라는 배우가 이렇게 냉정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을 하지 못했기에 정말 놀랐는데요.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차가운 역할을 잘 하더라고요. 그리 많은 비중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연홍’과 부딪치는 장면 등에서 자신의 역할을 충분히 하는 것 같습니다. 영화를 다 보고 나면 전혀 다르게 평가를 내릴 수 있는 역할인데 정말 안정적인 연기를 선보이더군요. ‘김주혁’이라는 배우가 이렇게 연기를 잘 했었나 싶을 정도로 완성도 높은 캐릭터를 선보입니다.
전반적으로 독특한 감성의 영화이기는 하지만 따라가다 보면 그리 어려운 영화는 아닙니다. 딸의 진실을 파헤치면서부터 영화의 흐름이 완벽히 달라지기는 하는데, 그 흐름을 제대로 따라간다면 크게 지루하지 않거든요. 그리고 천천히 그 어떤 긴장 같은 것을 고조하면서 한 순간 탁 터뜨리는 그런 방식의 영화이기에 더욱 집중하기 좋습니다. 영화가 중반을 넘어가면서부터 대충 범인이 누구인지까지는 밝혀지는데, 도대체 왜 범인이 그런 일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쉽게 알 수 없기에 마지막까지 집중하게 됩니다. 다소 불친절한 부분이 있기도 하고 관객들마다 전혀 다른 해석을 해야만 하는 부분들이 있는 영화이기는 하지만 그런 것을 제외한다면 사랑할 수 있는 영화였습니다. 감성적이고 아름다운 영화였거든요. 특히나 배우들의 매력이 이렇게 잘 살릴 수가 있나 싶을 정도로 ‘손예진’과 ‘김주혁’의 연기는 최고였습니다. 화면 역시 묘하게 아련하게 그려내는 것이 좋았고요. 감정을 절제하지 않고 모든 순간 터뜨리면서 모든 사람들과 부딪치는 것이 다 좋았습니다. 그 묘한 어그러짐. 그리고 엇갈림 같은 것이 영화를 더욱 풍성하게 만드는 것 같았습니다. 그리 친절한 느낌의 영화는 아니지만 다 보고 나면 뭔가 가슴을 두드리는 것이 있는 독특한 느낌의 영화 [비밀은 없다]였습니다.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다음 우수블로거 권순재 ksjdoway@hanmail.net
Pungdo: 풍도 http://blog.daum.net/pungdo/
'☆ 문화 > 맛있는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맛있는 영화] 봉이 김선달, 색다를 줄 알았건만. (0) | 2016.07.08 |
---|---|
[맛있는 영화] 레전드 오브 타잔, 맛집 흉내 (0) | 2016.07.08 |
[맛있는 영화] 사냥, 비싼 재료는 다 모아 놨다. (0) | 2016.06.29 |
[맛있는 영화] 에브리바디 원츠 썸, 대학 신입생 때 설렘 (0) | 2016.06.28 |
[맛있는 영화] 인디펜던스 데이 리써전스, 전설이 돌아왔다. (0) | 2016.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