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세상] 어머님 칼국수 - 조치원 조치원 맛집 / 고대 세종 맛집 / 세종시 맛집 고려대학교 세종 맛집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맛집 이 날씨 칼국수가 먹고 싶지 않으신가요? 뜨끈하고 맛있는 따끈한 칼국수 ㅎ 게다가 육수도 맛있고 면도 쫄깃하고~ 꽁보리밥까지 주더라고요 ㅎ 끓여서 먹는 거라서 더 신기해요 ㅎ 그리고.. ★ 일상/맛있는 세상 2014.10.29
[한국 여행기] 조치원, 연화사 세종시 기자단 일을 하고 있기에 오늘은 조치원 문화재인 연화사를 다녀왔답니다. 그리 크지 않은 절이었는데요. 그래서 참 신기하면서도 놀라웠답니다. 제가 간 날은 정말로 날이 좋았는데요. 저 맑은 하늘이 보이시나요? 대신 택시에서 내리자마자 땀이 스멀스멀 ㅠ.ㅠ 날씨는 쩅한데 진짜 더운 날.. ★ 일상/한국 여행기 2010.08.11
고려대 설마 '한 입으로 두 말하기' 권법?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는 세종시에 입주하기로 예정된 두 개의 대학 중 하나였습니다. 초기의 모델의 경우확정은 되지 않았지만 아무래도 행정 관련 학과 등이 생기지 않겠냐는 이야기가 되었었는데요. 수정안 이야기가 나오면서, 과학 쪽의 이전이 이야기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그런 고려대학교가, .. ★ 일상/이야기 하기 2010.06.27
新 성장거점, 세종시 미래 발전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에 다녀오다. 지난 2010년 4월 6일 14시부터 16시까지 안양에 위치한 국립국토원에서 열린 [新 성장거점, 세종시 미래발전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에 다녀왔습니다. 입구에서부터 무언가 대단한 느낌을 마구마구 풍기고 있는 듯한 느낌이 느껴지시지 않나요? 사실 국토연구원이라는 곳은 처음 가보는데요. 우리나라 국.. ★ 일상/이야기 하기 2010.04.12
대전세종상생포럼 '김병윤' 대표를 만나다. 대전세종상생포럼이 정확히 하는 것은? 지역 교수들도 정권의 눈치를 봐서 정치적인 정황, 지역의 동정을 봐서, 교수님 같은 분들은 그런 것과 전혀 관계없이 세종시에 필요한 걸 주장하고 싶어서 의견을 표현하는 것이다. 정치적인, 지역적인 그런 여건에 대한 상황 논리하고 관계 없이, 세종시가 진.. ★ 일상/이야기 하기 2010.03.25
[오늘의 화제] 세종시 원안, MB의 말장난은 이제 그만! 우리나라의 원수이신 이명박 대통령께서 재미있는 장난을 시작하셨습니다. 세종시 수정안을 수정안이라고 부르시지 않은 것이시죠. 설날 연설에서 그 분께서 세종시 발전안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셨습니다. 아무래도 수정이라는 단어보다는 발전이라는 어감이 좋게 들릴 테니까요. 그렇기에 자랑스러.. ★ 일상/이야기 하기 2010.02.13
[오늘의 화제] 세종시 원안, 세종시를 지금 지켜야 하는 이유? 세종시에 대한 이야기가 점점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정도면 충청민들도 만족을 할만한 수준이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미 많은 특혜를 주고 있다는 거죠. 실제 충청인들도 만족을 하시려는 분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 만약 여기에 동의한다면 더 나쁜 결과가 나올 .. ★ 일상/이야기 하기 2010.02.13
[오늘의 화제] 세종시 원안, 강압적인 정부의 꿍꿍이가 뭘까? 그 동안 국민들을, 그리고 충청지역 주민들을 살살 꾀어내던 정부가 태도를 바꾸었습니다. 어떻게해서든 당신들이 다 원하는 것을 주겠다는 모습에서 이제 강제적으로 무엇을 하려고 하는 거죠. 22살인 제가 보기에 이러한 정부의 모습은 단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그러한 정부의 모습입니다. 제가 생각.. ★ 일상/이야기 하기 2010.02.07
[오늘의 화제] 세종시 원안, 정몽준의 흥미로운 발언? 한나라당 친이계의 든든한 축으로 자리를 잡고 계시는 정몽준 의원께서 재미있는 발언을 하셨습니다. 본인께서는 세종시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라는 느낌이 들만한 발언을 해주셨는데요. 그 이전에, 세종시가 이렇게 정치화 되기 이전에 거기에 관심이나 있으셨는지부터 여쭙고 싶습니다. .. ★ 일상/이야기 하기 2010.02.03
[오늘의 화제] 세종시 원안, 산이 좋으면 새가 모인다. 과학과 관련이 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KISTEP)의 원장님께서 과학을 우려해서 한 가지 말씀을 하셨습니다. 세종시 수정안의 경우 기업과 대학, 그리고 과학 단지가 어우러져 최고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수정안이 가결되지 않는다면, 과학계로써는 충격에 빠지게 되고 논란에 .. ★ 일상/이야기 하기 2010.02.02